본문 바로가기
▶ Battery/-. Basic

🛠️ 전기차 배터리 모듈(Module)이란? 정의 및 구성요소, 모듈 vs 팩, 차이점과 필수 기술📊

by 두디스(Dodis) 2024. 11. 9.
반응형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급속한 보급과 발전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차의 심장은 바로 배터리 시스템입니다. 전기차의 배터리는 단순히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넘어, 주행 거리, 안전성, 성능까지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특히, 배터리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배터리 모듈(Module)입니다.
배터리 모듈은 셀(Cell)과 모듈(Module), 팩(Pack)으로 나뉘는 전기차 배터리 구조에서 중간 단계에 해당하며, 여러 셀을 조합해 만들어진 단위입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관리와 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모듈과 팩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전기차, 배터리, 모듈,팩, 셀, 배터리기초, 직렬,병렬, 주행거리, 성능, BMS
전기차 배터리 구성: 셀 → 모듈 → 팩

🛠️ 전기차 배터리 모듈(Module)이란? 정의 및 핵심 역할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의 "심장"이라 불리며, 차량의 성능과 주행 거리를 결정짓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그중에서도 배터리 모듈(Module)은 셀(Cell)을 일정하게 배열해 구성된 작은 단위로, 배터리 팩(Pack)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쉽게 말해, 모듈은 셀들의 묶음이며, 이를 여러 개 조합하여 배터리 팩을 형성합니다.
 


📊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구성 요소 및 부품 설명

전기차 배터리 모듈은 전기차 배터리 팩의 기본 구성 단위로, 다양한 셀(Cell)과 이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여러 부품들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 요소들은 모듈의 성능과 안전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주요 부품과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입니다.

1. 배터리 셀 (Cell)

배터리 셀은 모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 요소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기차에서 사용되는 셀은 주로 리튬 이온 배터리 셀로, 고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자랑합니다. 셀은 형태에 따라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뉩니다:

2. 셀 간 연결부 (Interconnects) 및 전기적 연결 방식

전기차 배터리 모듈에서는 여러 셀(Cell)을 연결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Interconnects)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연결부는 셀들 간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모듈의 전압과 용량을 조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연결 방식에는 크게 직렬(S) 연결과 병렬(P) 연결이 있으며, 버스바(Busbar)가 주요 부품으로 사용됩니다.

직렬 연결 (S: Series Connection)

직렬 연결 방식은 셀들의 전압을 합산해 높은 전압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직렬 연결에서는 동일한 전류가 모든 셀을 거쳐 흐르며, 셀의 전압이 누적됩니다.

  • 높은 전압 제공: 직렬 연결은 셀의 전압을 더해, 모듈 전체의 출력 전압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 전압 균형 유지: 일정한 전류 흐름으로 셀 간의 전압 균형을 맞추기 쉽습니다.
  • 효율적인 전력 전송: 높은 전압을 통해 전력 손실을 줄이고, 장거리 전송 시 효율이 증가합니다.

예시: 3.7V 셀 5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모듈의 총 전압은 18.5V가 됩니다.

병렬 연결 (P: Parallel Connection)

병렬 연결 방식은 셀들의 용량을 합산해 높은 전류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병렬 연결에서는 모든 셀이 동일한 전압을 가지며, 각 셀이 독립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 높은 용량 제공: 병렬 연결은 셀의 용량을 더해, 모듈의 총 전류량을 증가시킵니다.
  • 안정적인 전력 공급: 여러 셀이 동시에 전류를 공급하므로, 고출력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 고장 대응 능력: 병렬 연결된 셀 중 하나가 고장 나도, 다른 셀들이 계속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 모듈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예시: 3.7V, 3000mAh 셀 3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모듈의 용량은 9000mAh가 됩니다.

💡 예시: "4S2P" 구조는 4개의 셀이 직렬로 연결된 후, 이러한 직렬 연결이 2개 병렬로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높은 전압과 충분한 용량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모듈,팩, 셀, 배터리기초, 직렬,병렬, 주행거리, 성능, BMS
배터리 모듈 직/병렬 구성

 


버스바(Busbar)의 역할과 중요성

버스바(Busbar)는 셀 간 전기적 연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 도체 부품입니다. 버스바는 높은 전류를 안전하게 전달하며, 셀과 셀 사이의 연결을 단순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높은 전류 전달: 버스바는 구리(Copper)나 알루미늄(Aluminum)과 같은 고전도성 금속으로 제작되어, 높은 전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합니다.
  • 저항 감소: 버스바는 셀 간의 연결 저항을 최소화해 전력 손실을 줄이고, 모듈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설계 단순화: 버스바는 셀 간 연결을 단순화해, 배선 작업이 줄어들고 모듈의 조립 과정이 간소화됩니다.
  • 열 분산 기능: 버스바는 높은 전류 흐름으로 인한 발열을 분산시키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특히, 구리 버스바는 열전도성이 뛰어나 효과적인 열관리에도 기여합니다.

TIP: 최근 전기차 배터리 모듈에서는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을 통해 버스바와 셀 간의 연결 강도를 높이고,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모듈,팩, 셀, 배터리기초, 직렬,병렬, 주행거리, 성능, BMS
모듈에 고정된 버스바 (Busbar)

3. 셀 보호 및 지지 구조 (Cell Holders and Structural Frame)

전기차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는 셀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손상이 방지됩니다. 이를 위해 셀 홀더와 **지지 구조물(Structural Frame)**이 사용됩니다:

  • 셀 홀더(Cell Holder): 셀들을 개별적으로 고정해 위치를 유지하고, 셀 간 단락을 방지합니다.
  • 지지 프레임(Structural Frame): 모듈 전체를 보호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강도가 높은 금속이나 경량 소재가 주로 사용됩니다.

4. 열관리 시스템 (Thermal Management System)

배터리 셀은 충·방전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키며,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성능 저하와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듈 내의 열관리 시스템은 효율적인 냉각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합니다:

  • 액체 냉각 시스템: 냉각수가 셀 사이를 순환하며 열을 흡수하고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고성능 전기차에 자주 사용됩니다.
  • 공기 냉각 시스템: 공기를 통해 셀의 열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지만 냉각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 PCM(Phase Change Material): 상변화 물질을 사용해 열을 흡수하며, 고온 시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면서 열을 제어합니다.

5. 팽창 제어 부품 (Expansion Control Components)

파우치형 셀의 경우, 충·방전 시 셀이 팽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제어하지 않으면 모듈의 안전성과 수명이 저하됩니다. 팽창 제어 부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압축 플레이트(Compression Plate): 셀의 팽창을 물리적으로 억제해 셀의 형태와 성능을 유지합니다.
  • 강화 프레임(Reinforced Frame): 셀의 팽창을 견딜 수 있는 구조물로, 모듈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모듈 vs 팩: 무엇이 다를까?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에서 모듈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듈(Module)

  • 셀들의 집합체로,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의 기본 단위입니다.
  • 모듈 하나는 여러 개의 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렬 또는 병렬 연결 방식을 사용합니다.
  • 관리와 수리가 용이하며, 배터리 성능의 균형을 맞추는 데 유리합니다.

팩(Pack)

  • 여러 모듈을 조합해 하나의 큰 단위로 구성됩니다.
  •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냉각 시스템, 보호 케이스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전기차에 직접 장착됩니다.
  • 설계와 구성에 따라 전기차의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시: 한 전기차 배터리 팩은 12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모듈은 10개의 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배터리 모듈 설계 시 필수 기술

전기차 배터리 모듈은 설계 단계에서 다양한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는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1. 열관리 기술 (Thermal Management Technology)

  •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액체 냉각 시스템이나 공기 냉각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 최근에는 **PCM(Phase Change Material)**과 같은 신소재가 적용되어, 더 뛰어난 열 제어가 가능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모듈,팩, 셀, 배터리기초, 직렬,병렬, 주행거리, 성능, BMS, 배터리 열관리, 팽창관리, 팽창
모듈 열관리 기술

2. 팽창 제어 기술 (Expansion Control Technology)

  • 셀의 팽창을 제어하기 위해 내부 강화 구조외부 보호 장치가 설계됩니다.
  • 특히, 파우치형 셀에서는 강력한 프레임과 클램프가 필수입니다.

3. 전자적 안전 기술 (Electrical Safety Technology)

  • 전기차 배터리는 고전압으로 작동하므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필수입니다.
  • 셀의 전압, 전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합니다.

🚀 모듈 설계 시 필수 고려 사항 및 기술적 도전 과제

배터리 모듈 설계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고효율 열관리 시스템, 신뢰성 높은 팽창 제어 기술, 고성능 BMS의 도입은 전기차의 안전성과 성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효율 열관리 기술: 셀의 고열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 구조적 안정성 강화: 충격과 진동에 강한 설계를 통해 셀 손상을 방지해야 합니다.
  • 안전성 검증 및 테스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은 다양한 극한 환경에서의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 결론: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중요성

전기차 배터리 모듈은 전기차의 성능과 안전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셀의 연결 방식, 열관리, 팽창 제어 등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이 모듈 설계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들 간의 균형이 맞아야 최적의 배터리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 미래의 전기차 기술 발전은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한 모듈 설계에 달려있습니다.

▶ 참고사이트
-. https://www.acc-emotion.com/stories/battery-cell-module-or-pack-whats-difference-infographics
-. https://ennovi.com/electric-vehicle-battery-modules/
-. https://ennovi.com/technical-literature/optimizing-production-efficiency-and-reducing-costs-for-electric-vehicle-ev-batteries/
-. https://ennovi.com/electric-vehicle-batteries-complete-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