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Project 1. 취준과 이직, 나의 전략13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13 – 자소서/면접에서의 나의 단점 or 약점 ① 이번 포스팅은 "약점 or 단점" 그리고 자소서와 면접에 녹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 소스들"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키워드는 자소서 및 면접에서 지원자를 당황하게 그리고 힘들게 하는 주요 키워드 중 하나로써 해당 포스팅을 통해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약점? 단점? 우선적으로 약점/단점을 알아봅시다. ▶ 단점 : 잘못되고, 완전하지 못하고 부족한 점 → 약점은 단점과 의미가 유사하지만 상대적인 비교 관점에서 비교 대상 대비 완전하지 못하거나 부족한 점을 의미 약점 및 단점 도출 어떠한 사람이든 "단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소서/면접을 준비하다보면 "단점 및 약점"에 대한 경험을 찾기 어려워하고 해당 항목에 대해 쉽게 .. 2024. 9. 24.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12 – 자소서/면접 나의 장점 or 강점 발굴 이번 포스팅은 "강점과 장점" 그리고 발굴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키워드는 자소서 및 면접에서 자주 활용되기 때문에 해당 포스팅을 통해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나의 강점? 장점? 먼저 강점/장점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알아봅시다. ▶ 강점 : 남보다 우세하거나 더 뛰어난 점.▶ 장점 : 좋거나 잘하거나 긍정적인 점. 하지만 우리는 취업 준비/이직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아래와 같이 강점과 장점의 의미를 이해하고 우리가 배웠던 기반 역량(General Competency)들을 활용해서자소서와 면접에 준빌해보기로 해요:)!! ※ 기반 역량(General Competency) 이 무엇인지 모르신다면!! 아래 게시물 참고!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5 – 기반역량(Gener.. 2024. 9. 21.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11 – CAR 구성 변화가 필요한 역량들 ④ Data gathering &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역량) 이번 포스팅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에 대해 작성했습니다. 해당 역량은 데이터와 수치를 다루는 직무에서 요구되는 역량 중 하나로써 기존 기반역량과 달리 CAR 구성 변화가 필요한 역량 입니다. " Data gathering &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에 대한 경험정리 및 CAR 구성을 어떻게 하는지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해 작성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Data gathering &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 Data gathering & Analysis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은 의미 그대로 "데이터를 얼마나 수집을 잘하고 또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적절한 분석 결과"를 잘 도출하는지 보여주는 역량입니다. 특히, 측정, 계산 및 다양한 .. 2024. 9. 9.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10 – CAR 구성 변화가 필요한 역량들 ③ Self Reflection/Self Development (자아 성찰 및 개발 역량). 이번 포스팅은 Self Reflection/Self Development (자기인지/계발 역량)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해당 역량은 자소서 또는 면접에서 우리의 단점 및 약점에 대한 키워드에 활용될 역량들로써 지난 시간에 이어서 특별한 역량 삼총사 두 번째 역량이기도 합니다. Self Reflection/Self Development (자기인지/계발 역량)경험정리 및 역량블록 CAR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해 작성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Self Reflection/Self Development (자기인지/계발 역량)? 해당 역량에 대한 CAR 구성 및 접근법을 설명드리기 전에 해당 역량에 대한 설명을 먼저 드리고자 합니다. Self Reflection/Self Dev.. 2024. 6. 26.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9 – CAR 구성 변화가 필요한 역량들 ② Result Orientation (결과지향적). 이번 포스팅은 Result Orientaion (목표지향역량) 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해당 역량은 자소서 또는 면접에서 자주접하는 "성공경험" 대한 키워드에 활용될 역량으로써 기존에 포스팅했던 기반역량과 조금 다른 CAR 구성을 가집니다. 그래서 Result Orientaion (목표지향역량) 경험정리 및 역량 블록 작성을 위한 CAR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실시예를 통해 작성법을 이해함으로써 성공경험에 대한 키워드에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Result Orientation(목표지향역량)은 어떤 CAR 구성을 가지나? 보통 기업과 같은 조직에서는 조직의 규모 별(ex. 사업부>실>팀>그룹)로 KPI 즉 조직에서의 매년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기 때문에 Result .. 2024. 6. 17.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8 – CAR 구성 변화가 필요한 역량들 ① Intro. 안녕하세요, 두디스입니다."대한민국 모든 취업/이직러들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들과 여덟 번째 만남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경험정리의 경량화를 통해 "역량블록"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글을 작성했는데요.오늘은 자소서와 면접에서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CAR 구조에서 Context, Action의 구성이 달라지는 3가지 역량들을 설명드릴겁니다. 천천히 함께 가보시죠!!! 특별한 역량 삼총사, 왜 Context, Action 구성이 달라지는데? CAR 구조는 유지하지만 Context, Action 구성이 달라지는 역량 3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삼총사라 지칭하겠습니다.) 1) Result Orientation (목표지향역량)2) Self Reflection/Self Development (자기인지/.. 2024. 6. 6.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7 – 역량 블록 어떻게 만드는데? ② CAR구조와 역량블록 안녕하세요, 두디스입니다."대한민국 모든 취업/이직러들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들과 일곱 번째 만남이네요!😍지난 시간까지 역량 블록을 만들기 위한 "타겟 역량에 대한 경험 정리"에 설명드렸는데, 이번 시간에는 역량 블록으로써 활용하기 위한 경험 정리 경량화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경험정리 요약 - 역량블록으로 활용하기 위한 경량화 경험정리를 하셨으면 느끼셨겠지만 내용이 너무 많죠??자소서에 쓰기에는 글자수도 많고 면접에 쓰기에는 스크립트 길이도, 시간도 많이 소요될 것 같고? 그래서 앞의 경험정리를 경량화를 진행 할겁니다. 경량화를 통해 정리된 스크립트는 "역량블록"이 되어 사용될거에요. 1) 경험정리 → 2) 경량화 or 요약 → 3) 역량블록 경험정리를 경량화를 할때 동일한 CAR 구조.. 2024. 5. 15.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6 – 역량 블록 어떻게 만드는데? ① 경험정리 안녕하세요, 두디스입니다."대한민국 모든 취업/이직러들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들과 여섯 번째 만남이네요!😍오늘도 바쁜 하루 잘 보내셨나요??이번 시간에는 이전 시간까지 자주 강조했던 "역량 블록을 만드는 과정"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역량 블록을 만들기 위한 CAR 구조 기반 경험 정리 앞서 17가지 기반역량 별로 위에 보이는 그림과 같이 우리들의 역량블록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죠??즉, 17가지 기반 역량 별로 해당 역량을 도출할 수 있는 경험들을 정리하는 겁니다.그럼 역량에 대한 경험을 그냥 정리하면 되냐?아닙니다. CAR 논리구조와 이를 기반으로하는 포맷을 활용할 것입니다.경험 별로 역량을 도출하는 논리 통일 뿐만 아니라 논리가 같아야 머릿속에 저장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CAR 구조 .. 2024. 5. 7.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5 – 자소서와 면접에 기초가 되는 기반역량 종류 및 개념 안녕하세요, 두디스입니다."대한민국 모든 취업/이직러들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들과 다섯번째 만남입니다! 😀 저번 시간에 기반역량 및 직무역량에 대해서 배웠는데요.오늘은 기반 역량의 종류와 개념을 알아볼거에요!!오늘 내용을 쉽게 이해하시기 위해 이전 게시글을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4.05.04 - [취준과 이직, 나의 전략] -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4 – 역량이 뭔데? 기반 역량 종류와 개념 기업의 "인사 관리" 관련해서 미국에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고 기반역량들을 구조화하여 활용하고 있으며국내 주요 대기업들에서 이것들을 많이 채택해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구조화 면접 많이 들어보셨죠??) 우리는 미국에서 구조화해서 활용하고 있는 수 많은 역량 中 "신입사원"으.. 2024. 5. 4.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4 – 자소서와 면접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뭔데? 안녕하세요, 두디스입니다."대한민국 모든 취업/이직러들을 응원합니다!" 여러분들과 네 번째 만남이네요!😍 오늘은 우리가 취준 시, 지겹게 듣고, 보고, 고민하게 만드는 “역량”이 무엇인지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역량" - 지겹게 보고 듣고 써봤지만 뭔지 모르겠다?역량(COMPETENCY)이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로는 “어떠한 상황안에서 주어진 목표를 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그럼 기업 인사 관점에서 그리고 신입사원으로서 지원하는 관점에서 우리는 어떻게 번역해서 이해해야 할까요? 저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어떠한 상황(1. 소속, 2. 역할, 3. 목표) 안에서 주어진 업무 또는 목표를 해낼 수 있는 능력 상황 항목상황 예시소속•OO대학교 OOO연구실 학부생 연구원•OOO .. 2024. 5.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