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Battery/-. Basic

📊 셀 내부 저항 주요 원인 : 배터리 극판 Binder Migration 문제, 원인, 셀 성능에 미치는 영향

by 두디스(Dodis) 2024. 11. 24.
반응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Binder migration(바인더 이동)은 배터리 성능 저하를 야기하는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Binder migration은 극판 제조 공정의 건조(drying) 단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슬러리 내 바인더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위치로 이동하며 극판의 전기화학적 성능과 기계적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두꺼운 극판이나 고속 건조 공정을 사용하는 경우, 이 현상이 더욱 심화됩니다.

이 글에서는 Binder migration이 어떻게 발생하며, 왜 문제인지, 그리고 배터리 셀의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또한, Binder migr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제시합니다.


1️⃣ Binder Migration의 현상

바인더, 배터리, 셀, 극판, 코팅공정, 슬러리, 내부저항, 출력, 건조, 활물질, 도전재
용매 건조 과정에 대한 Binder Migration 바인더 표면 밀집

Binder migration은 배터리 극판 제조 공정 중 슬러리 건조 단계에서 바인더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전극의 전기화학적 성능뿐만 아니라 기계적 안정성까지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Binder Migration의 세부적 현상

  1. 바인더의 표면 축적 (Surface Accumulation)
    • 건조 과정에서 용매(evaporating solvent)가 증발하며 모세관 현상(capillary forces)이 발생합니다.
    • 이 과정에서 바인더(PVDF, CMC-SBR)가 용매와 함께 극판 표면으로 이동하고, 극판의 상부에 과도하게 축적됩니다.
    • 결과적으로 극판 표면에는 바인더 농도가 높아지고, 내부 또는 집전체-극판 인터페이스(경계)에서는 바인더 부족이 발생합니다.
    예시:
    극판의 단면을 SEM(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표면에서 바인더와 첨가제(예: 카본블랙)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패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극판 내부의 농도 기울기 (Binder Concentration Gradient)
    • 건조 속도와 온도가 부적절하면 극판 내부에서 바인더 농도가 고르게 분포하지 못하고 하부에서 상부로 점진적인 농도 차이(gradient)가 나타납니다.
    • 특히 두꺼운 극판에서는 용매가 위로 빠져나가면서 바인더도 함께 이동하여 하부 농도가 희박해지는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3. 극판-집전체 접착력 저하 (Adhesion Degradation)
    • 바인더는 극판과 집전체(Cu, Al Foil) 간의 접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Binder migration으로 인해 집전체와 접촉해야 할 바인더가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집전체와의 접착력이 감소합니다.
    • 이는 제조된 극판의 박리 테스트(90도 Peel Test) 결과에서 접착력 감소로 확인됩니다.
  4. 극판 표면 및 내부의 불균일한 구조 (Non-uniform Microstructure)
    • 표면 축적된 바인더는 극판의 기공 구조(porosity)를 변화시키고, 기공 크기와 분포의 불균일성을 유발합니다.
    • 이는 리튬 이온의 확산 경로를 방해하여 전기화학적 활성도 감소로 이어집니다.

바인더, 배터리, 셀, 극판, 코팅공정, 슬러리, 내부저항, 출력, 건조, 활물질, 도전재
두꺼운 극판일 수록 표면 축적된 바인더로 인해 기공구조 변형이 발생


Binder Migration의 진행 단계

바인더, 배터리, 셀, 극판, 코팅공정, 슬러리, 내부저항, 출력, 건조, 활물질, 도전재
Binder Migration 모식도

  1. 슬러리 코팅 후 초기 상태 (Wet Film Stage)
    • 코팅된 슬러리는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된 활물질, 바인더, 첨가제를 포함합니다.
    • 초기 상태에서는 모든 구성 요소가 균일하게 분포하며, 별다른 농도 차이가 없습니다.
  2. 건조 초반 (Initial Drying)
    •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용매는 표면에서 빠르게 증발하기 시작하며, 모세관 흐름이 발생합니다.
    • 용매와 함께 바인더가 극판 표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합니다.
  3. 건조 중반 (Intermediate Drying)
    • 모세관 네트워크가 점점 줄어들면서 바인더가 더욱 농축되어 표면에 축적됩니다.
    • 이 시점에서 극판 하부는 바인더가 부족해지고, 표면에는 농도 기울기가 뚜렷하게 형성됩니다.
  4. 건조 완료 후 상태 (Fully Dried Film)
    • 극판 표면에는 바인더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두꺼운 층을 형성하고, 하부는 바인더 부족으로 인해 접착력이 약화됩니다.
    • 표면의 바인더 축적은 극판의 기계적 안정성과 전기화학적 성능을 모두 저하시킵니다.

 

2️⃣ Binder Migration의 원인: 왜 발생할까? 🔍

Binder migration은 다양한 공정 조건과 슬러리 물질 특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조 속도 (Drying Rate)

  • 빠른 건조:
    용매가 빠르게 증발하며 바인더가 충분히 확산되지 못하고 표면으로 이동.
    바인더 농도 불균일 증가
  • 느린 건조:
    바인더 이동이 줄어들지만, 건조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아짐.

2. 건조 온도 (Drying Temperature)

  • 높은 온도에서 용매 증발이 가속화되고 모세관 힘이 증가하여 바인더가 더 빠르게 표면으로 이동.

3. 극판 두께 (Electrode Thickness)

  • 얇은 극판: 용매 증발이 용이해 바인더 농도 차이가 덜 발생.
  • 두꺼운 극판: 복잡한 내부 구조와 긴 확산 경로로 인해 표면 바인더 축적 현상 심화.

4. 슬러리 조성 (Slurry Composition)

  • CMC-SBR, PVDF 등의 바인더 농도와 용매 특성이 바인더 이동성에 영향을 미침.

5. 모세관 힘 (Capillary Force)

  • 용매가 증발하며 발생하는 모세관 현상이 바인더와 첨가제를 극판 표면으로 끌어올림.

 

3️⃣ Binder Migration이 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Binder migration은 배터리 셀의 전기화학적, 기계적, 열적 성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현상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셀의 성능 저하와 수명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전기화학적 성능 저하

  • 리튬 이온 이동 방해:
    바인더가 극판 표면에 축적되면 기공 구조가 왜곡되어 리튬 이온 확산 경로가 차단됩니다. 이로 인해 셀의 충방전 효율과 에너지 밀도가 감소합니다.
  • 전기적 저항 증가:
    바인더 부족으로 극판과 집전체(Cu, Al Foil)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출력 성능이 저하됩니다.
  • 불균일한 전류 분포:
    바인더 축적으로 전류가 특정 영역에 집중되는 Hot Spot 현상이 발생, 셀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접착력 약화

  • 극판-집전체 접착력 감소:
    바인더가 표면으로 이동하면서 집전체와 극판 사이의 접착력이 약화됩니다. 이는 충격, 진동 등 외부 자극에 의해 극판이 탈리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 장기적 안정성 저하:
    접착력이 약해진 극판은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셀의 내구성을 떨어뜨립니다.

3. 셀 수명 단축

  • 스트레스 집중:
    바인더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으면 충방전 시 팽창/수축으로 내부 스트레스가 특정 부위에 집중됩니다. 이는 극판 손상과 성능 열화를 가속화합니다.
  • 충방전 사이클 성능 저하:
    반복적인 충방전 테스트에서 셀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이 감소하고, 장기적으로 수명이 단축됩니다.

4. 열적 안정성 저하

  • 과열 위험:
    바인더 축적으로 인해 열이 국소적으로 축적되며, 특정 영역에서 Hot Spot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 열 관리 성능 약화:
    구조적 불균일로 인해 셀 전체의 열 분산 성능이 감소하고, 이는 고온 환경에서 셀의 안전성을 저하시킵니다.

5. 내부 균열 및 성능 열화

  • 극판 내부 크랙 발생:
    바인더 축적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가 충방전 중 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하시켜 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특히 두꺼운 극판에서 심화:
    두꺼운 극판은 내부 확산 경로가 길고 기공 구조가 복잡해 Binder migration에 따른 크랙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4️⃣ Binder Migration 문제 해결 방안 💡

Binder migration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조 속도 최적화

  • 단계적 건조 프로파일 도입:
    • 초기 저속 건조로 용매 증발 안정화.
    • 후속 고속 건조로 잔여 용매 제거.

2. 건조 온도 조절

  • 온도를 지나치게 높이지 않고 최적 범위 내에서 유지.
  • 열 전달 계수 조정을 통해 건조 균일성 확보.

3. 극판 두께 관리

  • 다층 코팅(Multi-layer Coating) 방식으로 각 층의 바인더 분포를 최적화.

바인더, 배터리, 셀, 극판, 코팅공정, 슬러리, 내부저항, 출력, 건조, 활물질, 도전재

4. 슬러리 조성 개선

  • CMC-SBR 비율을 최적화해 바인더 이동성을 제어.
  • 바인더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첨가제 활용.

5. 시뮬레이션 활용

  • 건조 공정 중 바인더 이동을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하고 최적 조건 설계.

📌 결론 🌟

Binder migration은 배터리 제조에서 중요한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건조 공정 제어슬러리 조성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균일한 바인더 분포는 배터리 성능과 수명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며, 생산 공정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참고 문헌

-. J. Kumberg, Drying of Lithium-Ion Battery Anodes for Use in High-Energy Cells: Influence of Electrode Thickness on Drying Time, Adhesion, and Crack Formation, Energy Technol., 7, 1900722 (2019)

-. R. Diehm, Simultaneous Multilayer Coating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