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6 배터리 산업의 미래, 건식 극판 공정의 가능성과 장점 배터리 제조 기술은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수요 증가와 함께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 건식 극판 공정은 기존 습식 공정을 대체할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LGES)과 삼성SDI는 모두 이 건식 공정의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말까지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2028년까지 건식 극판 공정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삼성SDI 또한 2024년 파일럿 라인을 가동하여 상용화를 준비 중입니다 1. 건식 극판 공정이란?건식 극판 공정은 배터리 제조 시 슬러리(유기 용매와 전극 물질을 혼합한 액체)를 사용하는 기존 습식 공정과 달리, 고체 분말을 직접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와 같은 기업들이.. 2024. 10. 17. 파우치형 vs. 각형 vs. 원통형: 전기차 배터리 형태에 따른 특징 이해하기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의 성능과 주행 거리,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부품입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형태에 따라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형태는 고유한 장단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파우치형, 각형, 원통형 배터리의 특징을 비교하고, 각 형태가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저① https://www.linkedin.com/pulse/comparison-between-three-types-lithium-ion-battery-cell-cliff-lee② https://www.grepow.com/blog/prismatic-vs-pouch-vs-cylindrical-lithium-ion-battery-cell.html③ https://w.. 2024. 10. 17. 배터리 제조의 모든 것: 단계별 배터리 공정 이해하기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캐즘 (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해 전기차 전환 목표를 수정하며 전동화 시대를 대비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전기차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전기차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배터리"는 이 전동화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그 성능과 안정성이 차량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그렇다면 배터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이번 글에서는 배터리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원료 준비 배터리 제조의 첫 번째 단계는 원료 준비입니다. 리튬, 니켈, 코발트와 같은 주요 금속 원료들이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정제되고 가공됩니다. 양극 원료로는 리튬 화합물(예: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산화물)이 사용되며, 음극 원료로는 .. 2024. 10. 14. [지방대, 대기업 어떻게 취업했니?] 13 – 자소서/면접에서의 나의 단점 or 약점 ① 이번 포스팅은 "약점 or 단점" 그리고 자소서와 면접에 녹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 소스들"을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해당 키워드는 자소서 및 면접에서 지원자를 당황하게 그리고 힘들게 하는 주요 키워드 중 하나로써 해당 포스팅을 통해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나를 힘들게 하는 약점? 단점? 우선적으로 약점/단점을 알아봅시다. ▶ 단점 : 잘못되고, 완전하지 못하고 부족한 점 → 약점은 단점과 의미가 유사하지만 상대적인 비교 관점에서 비교 대상 대비 완전하지 못하거나 부족한 점을 의미 약점 및 단점 도출 어떠한 사람이든 "단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소서/면접을 준비하다보면 "단점 및 약점"에 대한 경험을 찾기 어려워하고 해당 항목에 대해 쉽게 .. 2024. 9. 2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