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Battery/-. technology20

🔋 배터리 혁신! Cell to Pack(CTP) 기술의 시작과 CATL CTP 세대별 발전 특징 분석 🧐 📑 목차서론 ✨Cell to Pack(CTP) 기술의 개발 배경 🚀CTP 기술의 주요 장점과 기존 모듈형 배터리와의 차이점 ⚖️CATL의 CTP 세대별 발전과 특징 분석 📊CATL CTP 1세대: 초기 혁신의 시작 🔍CATL CTP 2세대: 에너지 밀도 개선과 안전성 강화 🔧CATL CTP 3세대: 고효율과 구조적 혁신, 그리고 남은 과제 🛠️CTP 기술이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결론 및 미래 전망 🔮1. 서론 ✨전기차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는 배터리 팩 구조입니다. 최근 배터리 시장에서는 Cell to Pack(CTP)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모듈형 배터리 구조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방식입니다. 특히, CATL은 이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여 CTP 1세대부터 3세.. 2024. 11. 10.
특허 분석] CATL, 단결정입자 활용, 전극설계 최적화, 공극률제어 ■ 특허 핵심 요약이 특허의 핵심은 단결정 양극 활성 물질을 활용한 고에너지 밀도 배터리의 성능 개선에 있습니다. 주요 기술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단결정 입자 활용: 양극 활성 물질에서 단결정 입자의 비율을 50% 이상으로 유지하여 충방전 과정에서의 입자 파손을 최소화하고,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합니다.전극 설계 최적화: 양극판의 **길이와 너비 비율(m)**과 **압축 밀도(ρ)**를 최적화하여 전류 분포 균형과 전극 저항 감소를 실현합니다.고니켈 삼원계 소재 사용: 고니켈 계열 삼원계(NCM, NCA) 양극 소재를 사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와 출력 성능을 확보합니다.공극률 제어: 양극 활성 물질 층의 **공극률을 23%~33%**로 유지하여, 전극의 이온 전달 효율과 전지 셀의 동역학적 성능을 .. 2024. 11. 8.
🔋 배터리 셀 조립의 핵심! 와인딩(Winding) & 스택(Stacking) 공정 모든 것!🚀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조립 공정은 전극과 분리막을 조합하여 배터리 셀을 완성하는 단계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 기술 중 하나가 **와인딩(Winding)**과 스택(Stacking) 공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공정의 정의, 작동 원리, 장단점, 그리고 스택 공정의 다양한 방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조립 공정이란?조립 공정은 배터리 제조에서 전극, 분리막, 전해질 등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완전한 배터리 셀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은 전극과 분리막을 올바르게 배치하고, 셀 내에서 화학적 및 물리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조립 공정은 배터리의 최종 성능, 수명,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각 요소가 정밀하게 결합되어야 .. 2024. 11. 5.
🔍 배터리 제조의 시작, 슬러리 믹싱 공정 – 중요성, 믹싱/혼합 방법, 품질 기준, 제어 요소 총정리!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슬러리 믹싱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성능과 효율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슬러리 믹싱 공정의 정의와 중요성, 품질 기준, 그리고 주요 제어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슬러리 믹싱 공정이란? 🧪슬러리 믹싱은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제작하기 위한 핵심 과정으로, 활성 물질과 다양한 첨가제를 용매에 섞어 슬러리 형태의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양극과 음극의 목표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와 용매의 구성이 달라지므로 슬러리의 상태 또한 달라지며, 이를 고려하여 균일한 코팅이 가능하도록 최적의 슬러리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양극 슬러리: 양극 슬러리에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주로 PVDF), 전도성 물질, 그리고 용매로 NMP(N-메틸피롤리돈)가 주로 사용됩니다.. 2024. 11. 2.
🔍 배터리 제조의 필수 공정: 코팅 공정과 Wet Coating 핵심과 주요 변수 배터리 슬러리와 코팅 공정의 이해 🌊배터리 제조에서 슬러리는 활성 물질, 바인더, 전도성 첨가제를 혼합해 만든 반죽 형태의 물질입니다. 슬러리는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도포됩니다. 양극은 주로 알루미늄 호일 위에, 음극은 구리 호일 위에 슬러리가 도포됩니다. 이 과정에서 슬러리를 호일 양면에 균일하게 코팅하여 전극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코팅 공정은 전극의 미세 구조와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단계로, 균일한 두께와 고른 품질 유지가 중요합니다.코팅 공정의 중요성 💡슬러리 코팅 공정은 배터리 제조에서 전체 비용의 약 22%를 차지하며, 특히 코팅 두께와 균일성이 전극의 미세 구조와 배터리 수명에.. 2024. 11. 1.
⚡ 리튬이온 배터리 고속충전의 핵심 원리와 주요 파라미터 🔋 최근 많은 사용자가 전기차를 선택하면서, 충전 시간은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내연기관 차량은 주유소에서 단 5분 내외로 연료를 보충할 수 있는 반면, 전기차는 고속 충전기를 사용하더라도 보통 평균 30분, 저속에서는 12시간까지 걸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충전 시간 차이는 전기차 사용의 편의성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에 따라 충전 시간을 단축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전기차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바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고속충전 기술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고속충전의 원리와, 고속충전에 적합한 소재 및 전극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리튬이온 배터리 고속충전의 핵심 원리 📈리튬이온 .. 2024. 10. 31.
🔍 배터리 셀 전극 압연 공정: 제조 과정에서의 기능, 역할과 중요성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은 리튬 이온 배터리 전극 제조에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 공정을 통해 배터리 전극의 밀도와 기공 구조를 조정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인 만큼, 그 정의, 역할,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1. 압연 공정(Calendering process)의 정의 🛠️압연공정(캘린더링, calendering ) 공정이란, 두 개의 회전 롤 사이에 배터리 전극을 압축하는 공정으로, 이를 통해 전극의 밀도를 높이고 기공률(공극률)을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극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 기판에 코팅된 흑연이나 NCM(니켈 코발트 망간 산화물) 같은 활성 물질로 구성되며, 롤 간격을 조절하여 원하는 밀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공정은 배.. 2024. 10. 27.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 레이저 용접의 역할과 중요성 리튬이온 배터리의 제조는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며, 이 공정에서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가 레이저 용접입니다. 배터리 제조에서 레이저 용접은 그 정밀성과 효율성 덕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이저 용접은 고에너지 레이저 빔을 사용해 배터리 구성 요소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안전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본 글에서는 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레이저 용접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이저 용접의 정의와 역할레이저 용접은 고에너지 레이저 빔을 사용해 두 재료를 결합하는 용접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접촉으로 이루어지며,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바탕으로 작은 열영향 구역과 빠른 용접 속도를 자랑합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서는 전기적 연결의 .. 2024. 10. 19.
배터리 산업의 미래, 건식 극판 공정의 가능성과 장점 배터리 제조 기술은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수요 증가와 함께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그 중 건식 극판 공정은 기존 습식 공정을 대체할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LGES)과 삼성SDI는 모두 이 건식 공정의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말까지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2028년까지 건식 극판 공정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삼성SDI 또한 2024년 파일럿 라인을 가동하여 상용화를 준비 중입니다​ 1. 건식 극판 공정이란?건식 극판 공정은 배터리 제조 시 슬러리(유기 용매와 전극 물질을 혼합한 액체)를 사용하는 기존 습식 공정과 달리, 고체 분말을 직접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와 같은 기업들이.. 2024. 10. 17.
배터리 제조의 모든 것: 단계별 배터리 공정 이해하기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캐즘 (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해 전기차 전환 목표를 수정하며 전동화 시대를 대비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전기차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전기차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배터리"는 이 전동화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그 성능과 안정성이 차량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그렇다면 배터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이번 글에서는 배터리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고, 각 단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원료 준비 배터리 제조의 첫 번째 단계는 원료 준비입니다. 리튬, 니켈, 코발트와 같은 주요 금속 원료들이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정제되고 가공됩니다. 양극 원료로는 리튬 화합물(예: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산화물)이 사용되며, 음극 원료로는 .. 2024. 10. 14.